포항시가 해양수산부가 주관하는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공모 사업에 최종 선정되며 대한민국 동해안 해양관광의 중심지로 도약할 기회를 잡았다. 이번 사업은 총 1조 3,523억 원 규모로, 2034년까지 영일만관광특구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29일 포항시 영일만관광특구와 경남 통영을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 사실을 발표했다. 이번 공모는 해양레저·관광 인프라를 갖춘 지역에 민간 투자를 유치해 국가 대표 해양관광 거점으로 육성하는 초대형 국책사업으로, 전국 9개 지자체(포항, 경기 시흥, 인천 송도, 충남 보령, 부산 다대포, 경남 통영, 전남 여수, 전북 고창, 강원 양양)가 참여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최종적으로 포항시가 서면 평가와 발표, 현장 실사를 거쳐 높은 점수를 받아 선정됐다.

포항시가 제출한 계획안은 민간 투자 1조 1,523억 원과 정부·지자체 재정 2,000억 원을 매칭해 총 1조 3,523억 원 규모다. 사업은 환호·영일대에서 송도·구도심을 연결하는 해양관광 동선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공공 재정 사업으로는 ▲환호공원 해양예술 거점 조성 ▲복합마리나 구축 ▲글로벌 해양경관 특화 ▲송도 복합 해양문화관광시설 건립 ▲송도솔숲·포항운하 명소화 등이 포함된다. 민간 투자 사업으로는 ▲해양레저지원센터 ▲대관람차 ▲특급호텔 ▲옛 포항역 복합개발(1·2지구) 등 9개 프로젝트가 연계된다.
포항은 도심과 해변이 맞닿은 독특한 입지와 50만 생활권 인구, 육·해·공을 아우르는 교통망 그리고 POEX, 특급호텔, 복합마리나 등 대규모 민·관 투자 프로젝트가 집적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영일만관광특구는 사계절 체류형 관광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며 동해안 해양관광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포항시는 이번 사업을 호미반도 일대의 골프장, 리조트 등 약 1조 3,000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와 연계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또 ▲첨단해양R&D센터 운영 ▲스마트 해양레포츠 e모빌리티 산업 육성 ▲APEC 크루즈 플로팅호텔 운영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호미반도 해양관광특구 지정 등 관련 사업을 통해 글로벌 해양레저관광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포항시는 하반기 국비 10억 원 교부 시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하고,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한 실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글로벌 수준의 해양도시 디자인을 위해 핵심 사업에는 국제현상공모도 병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