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정과제 가장 먼저 응답한 경북, ‘미래 지도’ 다시 그린다

5대 국정 목표 대응한 10대 핵심 키워드 도출, 핵심 사업 구체화 돌입
국가 AI 컴퓨팅 센터 유치, 원전 활용 청정수소 클러스터 등 대형 프로젝트 추진

경상북도가 새 정부의 국정 운영 계획에 신속하게 발맞춰 지역 발전 전략을 구체화하고 예산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지난 13일 발표된 정부의 5개년 국정운영 계획에 대한 후속 조치로, 경북의 강점을 활용해 국가적 과제 해결에 기여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19일, 이철우 도지사 주재로 열린 ‘새 정부 국정 방향 대응 보고회’에 경북테크노파크, 경북문화관광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이 모두 참여해 산업, 문화, 복지 등 분야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경북도는 정부의 5대 국정 목표와 23대 추진 전략을 분석해 인공지능(AI), 에너지, 인구 위기 극복, 균형성장 등 지역 실정에 맞는 10대 핵심 키워드를 선정했다.

19일 이철우 도지사가 ‘새 정부 국정방향 대응 보고회'(사진, 출처=경북도청)를 열어 주요 공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다방면에 걸쳐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미래 성장동력, AI·에너지에 집중

경북도는 특히 AI와 에너지 분야를 미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았다. 정부의 ‘AI·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계획에 발맞춰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유치하고, 산업 AI 혁신지원센터를 조성해 국내 AI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의 강점인 원자력발전소를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동해안 해저 전력망을 구축하는 등 탄소중립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에너지 전략을 추진한다.

저출생 문제와 관련해서는 경북이 선도적으로 추진해 온 정책들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저출생 극복 융합 돌봄 특구를 넓혀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늘리고, 분리된 복지·보건·요양 서비스를 하나로 묶는 ‘경북형 통합돌봄’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광역 교통망 확충으로 균형발전 견인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대형 사회기반시설(SOC) 사업도 속도를 낸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를 비롯해 신공항 순환철도, 대구·경북 대순환철도 등 광역 철도망과 영천~양구, 영덕~삼척을 잇는 남북 고속도로망을 국가 계획에 반영시켜 조속히 추진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권역별 K-콘텐츠 산업 지원, APEC 정상회의 유치 경험을 활용한 경주 국제관광 거점화, 산불 피해 지역 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 바이오·미래차 등 첨단산업 육성 방안 등도 함께 다뤄졌다. 이철우 지사는 “경북이 강점을 가진 산업을 중심으로 국정 방향과 연계해 대한민국이 초일류 국가로 도약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도가 제시한 청사진이 중앙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내 실질적인 지역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